
반려견은 우리의 가족 구성원으로 인식되고, 많은 사람들이 소중히 여기며 키우고 있습니다. 하지만 반려견들이 원치 않는 사고를 일으키거나 주인의 부주의로 인해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해서는 반려견 등록이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반려견들이 미등록 상태입니다. 정부에서는 신고 기간이 지나면 집중 단속을 하여 과태료를 부과한다고 합니다. 소중한 반려견을 위한 반려견 등록 제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반려견 등록 대상 및 기간

1. 동물 등록 대상
주택·준주택에서 기르는 2개월령 이상인 개와 주택·준주택 외의 장소에서 반려 목적으로 기르는 2개월령 이상인 개입니다.
2. 자진 신고 등록 기간
농림축산식품부는 반려견 등록을 활성화하고 등록 정보를 현행화하기 위해 8월 7일부터 9월 30일까지 '반려견 등록 자진 신고 기간'을 운영합니다. 등록 의무 대상인 반려견을 자진신고 기간 내에 신고하는 경우 과태료를 부과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아직 등록하지 않으신 분은 기간내 등록하시기 바랍니다.
3. 집중 단속 기간
자진신고 기간이 종료된 이후로는 각 지자체에서 10월 한 달간 공공장소 등에서 집중 단속을 실시할 예정입니다. 반려견 등록에 관련된 정부 보도자료는 아래 파일을 참조하세요.
반려견 등록 방법

1. 반려견 등록 방법
반려견 등록은 등록 대행업자로 지정된 인근 동물병원, 동물보호센터, 동물판매업소 등에 방문하여 손쉽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방문할 때에는 소유자 확인과 정보 입력을 위해 신분증을 준비하셔야 합니다.
2. 동물 등록 방식
동물등록 방신은 내장형과 외장형 중에 선택할 수 있습니다. 내장칩은 잘 훼손되지 않아 강아지를 더 안전하게 지킬 수 있습니다.
3. 내장형 마이크로칩이란
내장형 마이크로칩은 쌀알 크기로 바이오 코팅이 되어 있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반려견과 인근 동물보호 등록업체 방문시 마이크로칩을 안전하게 내장할 수 있습니다.
반려견 변경 신고

1. 변경 신고
반려견 등록 이후에도 소유자나 반려견의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예를 들어 소유자의 주소, 전화번호가 바뀌거나 반려견 분실, 사망 등의 변동이 생긴 경우 '변경 신고'를 해야 합니다.
2. 과태료 처분
변경 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도 과태료 처분이 내려진다고 합니다. 온라인을 통해서도 변경 신고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반드시 변경 신고를 하시기 바랍니다.
미 등록시 과태료
1. 과태료
동물등록 의무 위반 시 100만원 이하, 변경 신고 의무 위반 시 5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고 합니다.
2. 자진 참여
동물등록 절차는 소중한 반려견을 지키기 위한 기초적 수단으로, 반려 가구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며 자진 신고 참여를 당부하였습니다.
결론
결론적으로, 반려견 등록은 반려 동물 가족과 사회를 위한 필수적인 책임입니다. 미등록 상태의 반려견들이 줄어들 수록, 사회적 문제와 법률 위반을 차단하고 반려견에 대한 안전과 복지가 향상될 것입니다. 정부가 마련한 반려견 등록 기간과 집중 단속 기간을 잘 활용하여, 반려견 소유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등록하고 필요한 변경 신고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앞으로도 우리 모두가 반려견의 안전과 복지를 위해 노력하고, 체계적인 반려견 관리 및 등록 활성화를 도모해야 할 것입니다.
'일상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제부터 가을이 시작되는지 알아보자 (67) | 2023.08.11 |
---|---|
태풍 카눈 위기 경보, 태풍 대비책 및 행동 요령 (62) | 2023.08.09 |
호신용품 추천 베스트 5(안전을 위한 필수 아이템) (67) | 2023.08.06 |
지진 발생 속보, 지진 규모 및 지진 발생 시 행동 요령 (43) | 2023.07.29 |
청년주택임차보증금 이자 지원 신청하기 (59) | 2023.07.29 |
댓글
쇼맨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